반응형
자료형(data type)은 값이 단 하나인 스칼라가 갖는 종류이며 클래스로 생성된다.
실수형(numeric) : 소수점이 있는 숫자이며, 정수와 유리수 및 무리수를 포함한다.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변수에 할당하면 실수형 벡터로 생성된다.
정수형(integer) : 소수점이 없는 숫자. 양의 정수, 0, 음의 정수를 포함한다.
소수점이 없는 숫자 뒤에 대문자 L을 추가해야 정수형 벡터로 생성된다.
ex) 2L, 3L
문자형(character) : 따옴표로 감싼 문자열
논리형(logical) : 따옴표 없는 TRUE(또는 T)와 FALSE(또는 F)로 참과 거짓을 의미한다.
숫자형으로 변환시 TRUE는 1, FALSE는 0으로 변환된다.
범주형(factor) : 주로 정수형 또는 문자형을 명목형(nominal)/서열형(ordinal)으로 변환한 것
* 특수자료형
NULL : 객체가 정의되지 않는 상태. 객체를 삭제할 떄 주로 사용한다.
NA (Not Available) : 객체는 정의되어 있지만, 값이 없는 상태. 결측값
공간은 있지만 값이 없다.
NaN (Not a Number) : 어떤 수를 0으로 나눌 수 없듯이 수학적으로 정의할 수 없는 수
Inf : 양의 무한대
반응형
'Data Science > R' 카테고리의 다른 글
R프로그래밍 : 행렬(matrix) (0) | 2021.03.09 |
---|---|
R프로그래밍 : 자료구조 (data structure) (0) | 2021.03.09 |
R프로그래밍 : 범주형 벡터 원소의 변경 (levels) (0) | 2021.03.08 |
R프로그래밍 : 범주형 벡터 관련 함수 (as.factor, factor) (0) | 2021.03.08 |
R프로그래밍 : 벡터의 자료형 변환 함수 (as.integer, as.numeric, as.character, as.logical, as.factor) (0) | 2021.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