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6

엑셀 텍스트 합치기 방법 - 양쪽정렬 엑셀 텍스트 합치기 방법 여러 셀에 세로로 데이터가 있을 때 이걸 가로로 한 셀로 합치고 싶을 때 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 세로 여러 셀 -> 가로 한 셀 1) 합치려는 셀 크기를 원하는 만큼 늘려준다. 2) 채우기 > 양쪽맞춤 ALT 단축키 : ALT > H > FI > J 차례로 누르면 된다. 3) 결과 셀의 늘려준 크기만큼 세로로 들어갔던 데이터가 한 셀로 합쳐진 걸 볼 수 있다. 셀의 크기를 더 작게 했다면 셀의 크기만큼 들어가고, 그 밑에 셀에 이어서 들어가는 걸 볼 수 있다. * 주의할 점 수식이나 서식이 있으면 안됨 수식 -> 텍스트로 바꾸기 : TEXT함수 2021. 3. 15.
R 프로그래밍 : 리스트(list) - 생성, 인덱싱, 추가, 삭제, 변경 리스트 (list) R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자료구조로 벡터, 행렬, 데이터프레임 및 리스트 등 다양한 자료형의 객체를 원소로 가질 수 있다. 리스트를 인덱싱할 때 대괄호를 겹쳐서 [[ ]] 사용한다. 벡터처럼 대괄호를 하나만 사용하면 해당 원소를 항상 리스트로 출력 하지만 대괄호를 겹쳐서 사용하면 해당 원소를 본래 자료구조로 출력 '겹대괄호' 안에는 인덱스를 단 하나만 지정 리스트 원소에 이름이 있으면 달러 기호 ($)로 해당 원소 선택 가능 리스트$원소명 : 해당 원소를 본래 자료구조로 출력 리스트에 없는 원소명을 지정하면 항상 NULL을 출력 R함수가 실행된 결과로 여러 객체를 함께 반환하려면, 결과를 리스트로 생성하여 반환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R함수는 리스트를 반환할 때, 원소마다 이.. 2021. 3. 10.
R프로그래밍 : 변수(Variable), 객체(Object) R 변수 Variable 어떤 값을 가리키는 것이며, 가리키는 값은 매번 바뀔 수 있다 변수를 생성하면 재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변수명 만들 때 알파벳, 숫자 및 밑줄을 조합하여 만든다 변수명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한글로 작성할 수 있지만 추천하지 않음 변수명은 알파벳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R 객체 object 변수에 값을 할당하면 데이터의 자료형에 따라 객체가 생성됨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것 객체는 데이터를 할당받은 것 객체는 할당되는 데이터에 따라 자료형(Data type)과 자료구조(Data structure)가 결정된다. 자료형은 원소의 형태로 실수형, 정수형, 문자형, 논리형(True/False), 요인형(범주) 등이 있음 자료구조는 여러 원소를 담는 것으로 벡터, 행렬, 리스트, 데이터.. 2021. 3. 10.
R프로그래밍 : 데이터프레임(DataFrame) - 생성, 인덱싱, 슬라이싱, 추가, 삭제, 변경 데이터프레임 원소 개수가 같은 열벡터를 원소로 갖는 2차원 객체 열벡터의 자료형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 점이 행렬과 다르다. 열벡터의 원소 개수가 서로 다르면 데이터프레임을 생성할 수 없다. 데이터프레임을 인덱싱할 때, 행렬처럼 대괄호 안에 콤마를 추가한다. 콤마 앞에 행 인덱스, 콤마 뒤에 열 인덱스를 지정하는 숫자형 벡터를 입력한다. 콤마 앞에 생략하면 행 전체를 선택. 열도 마찬가지 데이터프레임에서 컬럼 하나만 선택하면 항상 벡터로 출력하지만, 행을 하나만 선택하면 항상 데이터프레임으로 출력. 행의 자료형은 다를 수 있기 때문. 데이터프레임은 리스트처럼 달러 기호를 사용하여 열벡터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프레임$컬럼명은 해당 컬럼을 본래 자료구조인 벡터로 출력 data.frame( ) : 데.. 2021. 3.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