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46 R프로그래밍 : 사용자 정의 함수 여러 곳에서 같은 코드 블럭을 반복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때 사용자 정의 함수를 생성하면 함수에 값만 바꿔서 실행할 수 있으므로 코드가 간단해지고, 코드의 유지 보수가 쉽다. 사용자 정의 함수 만들기 함수이름 2021. 3. 10. R프로그래밍 : 행렬(matrix) 행렬 같은 자료형의 스칼라를 원소로 가지는 2차원 자료구조 (행row, 열column) 벡터와 같은 점 : 원소가 입력된 수서를 유지하며, 자료형이 다른 원소가 추가되면 강제변환이 발생한다. 행렬은 2차원이므로 인덱싱을 할 때 대괄호 안에 콤마를 추가해야 한다. 콤마 앞에 행 인덱스, 콤마 뒤에 컬럼 인덱스를 지정하는 숫자형 벡터를 입력한다. 콤마 앞에 숫자형 벡터를 생략하면 행 전체를 선택한다. 행렬에서 행 또는 컬럼을 하나만 선택하면 항상 벡터로 출력된다. 행렬 생성 함수 : matrix( ) matrix(data = NA, nrow = 1, ncol = 1, byrow = FALSE, dimnames = NULL) data : 벡터를 지정 nrow : 행 길이, data에 지정된 벡터 원소 개수의 .. 2021. 3. 9. R프로그래밍 : 자료구조 (data structure) 자료구조(data structure) 스칼라를 여러 개 담는 객체의 종류이며 클래스로 생성된다. 자료구조는 스칼라인 원소(element)에 접근, 추가 및 삭제하는 인덱싱이 가능하다. 벡터(Vector) : 같은 자료형의 스칼라를 원소로 갖는 1차원 객체 행렬(Matrix) : 1차원 벡터를 행과 열이 있는 2차원으로 변환한 객체 배열(Array) : 2차원 행렬을 몇 겹으로 쌓아 깊이(depth)가 추가된 3차원 객체 데이터프레임(Data Frame) : 원소 개수(length)가 같은 열벡터를 원소로 갖는 2차원 객체 column이 원소, column끼리는 같은 자료형 리스트(List) : 다양한 객체를 원소로 가질 수 있는 객체 2021. 3. 9. R프로그래밍 : 자료형 자료형(data type)은 값이 단 하나인 스칼라가 갖는 종류이며 클래스로 생성된다. 실수형(numeric) : 소수점이 있는 숫자이며, 정수와 유리수 및 무리수를 포함한다.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변수에 할당하면 실수형 벡터로 생성된다. 정수형(integer) : 소수점이 없는 숫자. 양의 정수, 0, 음의 정수를 포함한다. 소수점이 없는 숫자 뒤에 대문자 L을 추가해야 정수형 벡터로 생성된다. ex) 2L, 3L 문자형(character) : 따옴표로 감싼 문자열 논리형(logical) : 따옴표 없는 TRUE(또는 T)와 FALSE(또는 F)로 참과 거짓을 의미한다. 숫자형으로 변환시 TRUE는 1, FALSE는 0으로 변환된다. 범주형(factor) : 주로 정수형 또는 문자형을 명목형(nomin.. 2021. 3. 9. 이전 1 2 3 4 5 6 7 8 ··· 12 다음 반응형